교육

아이에게 영어 원서 책 읽힐 때 알아야 하는 렉사일 지수

앨빈과풍뎅이 2025. 3. 25. 09:05

1. 기본 정의

  • 읽기 능력과 텍스트 난이도를 수치로 나타내는 지표
  • 미국에서 널리 사용되는 교육 평가 시스템
  • 200L ~ 1700L 사이의 숫자로 표현

2. 난이도 해석

  • 낮은 수치(예: 300L): 쉬운 텍스트
  • 높은 수치(예: 1200L): 어려운 텍스트
  • 교육 단계별 대략적인 기준
    • 초등학생: 300L ~ 600L
    • 대학생: 1200L 이상

3. 활용방식

  • 개인의 읽기 수준에 맞는 책 선택
  • ±100L 범위의 텍스트가 적절한 학습 난이도
  • 시험 지문, 교과서, 논문 등의 난이도 비교 가능

 

 

4. 한계

  • 단어 난이도와 문장 구조만 계산
  • 내용 이해의 깊이나 배경지식은 미반영
  • 읽기 능력을 완전히 대변하지 못함

5. 참고 

  • 자신의 Lexile 지수를 모른다면, 온라인 테스트 또는 학교 영어 모의고사 결과를 바탕으로 대략 예측가능 

Lexile.com이나 Fab Lexile Finder 같은 사이트에서 책 제목을 검색하면 해당 책의 지수를 확인.

 

6. 렉사일(Lexile)과 AR(Accelerated Reader) 독서 측정 시스템 비교

 

개발 배경

■ 렉사일: MetaMetrics사 개발

  • 3,500만 명 이상의 학생들이 사용
  • 100만 권 이상의 책에 지수 표기

AR(Accelerated Reader): 르네상스사(Renaissance Learning) 개발

  • 45,000개 이상의 학교에서 사용

 측정 방식

  • 렉사일:
    • 어휘, 문법, 문장 구조, 내용 복잡성 평가
    • 0~2000 범위의 지수
    • 숫자가 높을수록 더 어려운 텍스트
  • AR:
    • 책의 길이, 단어 난이도, 문장 구조 분석
    • 0~13 범위의 지수
    • 숫자가 높을수록 더 어려운 책

주요 목적

  • 렉사일:
    • 독서 자료의 복잡성 평가
    • 학생의 독해 능력 수준 측정
  • AR:
    • 책의 난이도 평가
    • 학년 및 개월 수 기준 독서 수준 추적
    • 독후 퀴즈를 통한 이해도 측정

이해도 평가

  • 렉사일:
    • 문맥상 어휘 의미에 초점
    • 전체적인 텍스트 이해도 평가
  • AR:
    • 독후 퀴즈 활용
    • 이해도에 따른 포인트 시스템

종합 권장사항

  • 두 시스템 모두 독서 능력 평가에 유용하며, 학생의 영어 독서 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두 지수를 함께 고려하는 것이 좋음.